14 수식과 피수식

 

     단어의 배열구조, 문장의 구조 학습 혁명

                      ----------------------

                        1. 우리말 비교

                        2. 근거리 수식 이론

                      ----------------------

                      강의 듣기 (동영상)

 

   언어의 구조는 수식과 피수식의 관계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영어는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또한 우리말과 비교할 때 그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알아본다. 수식과 피수식의 관계를 이해하면 영어의 구조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1. 우리말 비교

  * 수식어    : 꾸미는 말.        → 주변어

  * 피수식어 : 꾸밈을 받는말.  → 중심어

 우리말의 기본구조
 피수식어(중심어)는 뒤에 오고 수식어가 먼저 온다.

 영어의  기본구조
 피수식어(중심어)는 중심에, 수식어는 앞과 뒤에 온다.


   위 사실을 종합하면 다음의 결론을 얻는다.

  1. 우리말은 중심어가 뒤에 위치한다.
  2. 영어는
중심어가 중심부에 위치한다.


   위 1.2.에 대한 예문을 들어본다면,

   <우리말> :     정원안의   빨간   꽃    

                           ①        ②     ③  

    * 가장 중심어는 ③으로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

                                                           

   <영어>:  a red    flower   in the garden  

                   ①       ②          ③

    * 가장 중심되는 말은 ②로서 중심부에 위치.  


 A. 중심어가 되는 순위 영어와 우리말이 같다.

       ①동사   명사   형용사   부사


  
동사는 사건의 핵심어이므로 가장 중심되는 말로 본다. 위 ②,③,④는 모두 ①을 수식하고, ③은 ②를 수식하고, ④는 ③을 수식하며, ④는 ④ 자신을 수식하는 것이 우리말과 영어의 공통된 구조이다.
(모든 사물은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다. 교차이론).

 

P. 88 

 B. 영어의 기본 구조 - 영어는 중심어를 가운데 두고 수식어<주변어>가 앞뒤 양쪽에 위치하는데,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경우의 수”로 나타난다. (앞에서 말했던 언어의 수학적 측면).

 

1) 수식어가 중심어의 앞쪽에만 위치하는 경우.

        the  three  red  flowers

         ①   ②    ③    중심어  
 
    * ① ② ③은 모두 flowers를 수식.


        The  leaves  fall.

         ①    ②   중심어
  * ①은 ②를 수식하고 ②는 fall을 수식.

           ①과 ②는 하나가 되어 fall을 수식.


2) 수식어가 중심어의 뒤쪽에만 나타나는 경우.

         easy   to understand  (이해하기에 쉬운)

        중심어      수식어      


       
strong  enough  to lift  it      

        중심어     ①      ②    ③

    (그것을 들 정도로 충분히 튼튼한)

 * ③은 ②를, ②는 ①을, ①은 ②③과 하나가 되어 strong을 수식.

 

3) 수식어가 중심어의 앞뒤 양쪽에서 나타나는 경우.

        the   milk   in the bottle  (병 속의 그 우유)

         ①  중심어      ②    
      
  * ①, ②는 각각 중심어를 수식. 


    red   flowers   in the garden  (정원안의 빨간 꽃) 

    ①    중심어       ②   
         * ①, ②는 각각 중심어를 수식. 


        enough   money   to buy   the book     

          ①      중심어      ②        ③

(충분한 돈) + (그 책을 살 돈) = (그 책을 살 충분한 돈)

      * ①은 money를 수식. ③은 ②를 수식.
        ②는 ③과 한 몸이 되어 money를 수식.



 C. 영어의 품사(단어) 배열구조
         - 동사, 명사, 형용사, 부사에만 적용됨.

             전치사는 명사에 흡수됨

  제 1구조  동사중심

     명명. 명형(=형동명). 명부(=부동명)

            ㅡ 동사를 중심으로 양쪽에 무엇이든지


  
제 2구조 
명사중심

      형형 ㅡ 명사를 중심으로 양쪽에 형용사


  
제 3구조 
형용사중심

      부부 ㅡ 형용사를 중심으로 양쪽에 부사


  
제 4구조 
부사중심

      부부 ㅡ 부사를 중심으로 양쪽에 부사

 

1) 동사중심 구조: 
     N V N 명동명,   N V A 명동형,   N V Ad 명동부

 동사를 중심어로 명사 형용사 부사가 앞뒤에서 동사를 수식. 단, 앞 또는 뒤에서만 수식할 경우도 포함된다.

* 동사는 명사, 형용사, 부사가 수식한다.   
    

  

2) 명사중심 구조: A N A <형명형>.

 명사를 중심어로 형용사가 앞뒤에서 명사를 수식.
 
앞 또는 뒤에서만 수식할 경우도 포함된다.
* 명사는 형용사가 수식한다.

P. 89 

 

3) 형용사중심 구조: Ad A Ad <부형부>.

형용사를 중심어로 부사가 앞뒤에서 형용사를 수식.
(, 앞 또는 뒤에서만 수식할 경우도 포함된다.)
* 형용사는 부사가 수식한다.

4) 부사중심 구조: Ad Ad Ad <부부부>.
부사를 중심어로 부사가 앞뒤에서 부사를 수식.
(, 앞 또는 뒤에서만 수식할 경우도 포함된다.)
* 부사는 부사가 수식한다.


           (매우) (빨리) (버스를 잡을 정도로)
             =
버스를 잡을 정도로 매우 빨리


5)
혼합구조: 4 가지의 구조가 혼합된 것.
 
흔히 긴 문장에서 나타나며, 위 제 1 또는 제 2 구조를 토대로 하여 제 2, 3, 4 구조가 세부적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마치 어떤 국가라는 큰 구조 속에서 다시 시, , , , , , , 반의 구조가 세부적으로 얽혀 있는 것과 같은 형태이다. 우주의 형태와도 같다. 지구 주변에 달이 있고, 지구과 달은 함께 태양 주변에 자리하고, 태양 주변에는 많은 혹성들이 자리하고 있다.

 

Page 90

* 위 문장 전체로 보면 <명동명>으로 1구조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 속에는 2구조<형명형>이 양쪽에 자리잡고 있다.

 

 * 위 문장 전체로 보면 「명동형」의 제1구조에 해당하며, 이 속에는 제2구조인 「형명형」과 제3구조인 「부형부」가 양쪽에 있다


 * 위 전체로 보면 「명동부」의 제 1구조인데, 양쪽에 명사중심 구조<형명형. 제2구조>와 부사중심 구조<부부부. 제4구조>가 혼합되어 있다.

 

          나를 만나고 싶어하는 그 소년은

    
          
탐을 방문하기 전에 이곳으로 온다.

* 위 예문 5.의 핵심 줄거리는 boy comes here.

 

   5. The three little  girls  sitting  on a bench  in the garden  are reading  an interesting  book  written  by a very famous novelist.  

   * 위 예문이 길지만 핵심 내용은 girls  are reading  books(소녀들이 책을 읽고 있다)가 된다. 「명동명」의 구조.

   정원안의 벤취에 앉아있는 그 작은 세 소녀들은 어떤 아주 유명한 작가에 의해 쓰여진 하나의 재미있는 읽고 있다.

 

 



     2. 근거리 수식 이론

  언어의 기본구조는 수식과 피수식의 관계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수식과 피수식의 관계에 있는 말끼리는 되도록이면 서로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려는 현상을 말한다. 이것을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본능」 혹은 「중심어와 주변어의 본능」이라 하리만큼 근거리 수식의 관계는 지켜진다.

  비유적으로 설명한다면, 귀걸이는 귀를 수식<장식>하기 위한 것이므로 되도록이면 귀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장치(위치)해야 한다. 만약 이것을 귀에서 멀어진 목이나 코에다 걸면 이것은 이미 귀걸이가 아닌 목걸이나 코걸이로 변한다. 또한 모자를 발에 씌울 수 없고 신발을 머리에 씌울 수도 없는 것은 수식어(주변어)와 피수식어(중심어)는 근거리를 지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역설적으로 근거리를 지키지 아니한 말은 수식과 피수식의 관계가 아니다고 할 수 있다.

 

P. 91

  여기에서 귀걸이의 재질이나 모양새에 따라서, 즉 상황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재미있는 현상이 나타난다.


  ⑴ 귀걸이가 귀에서 멀어져서 목걸이나 팔걸이로 쓰일 수 있는 경우.

⑵ 귀걸이가 귀에서 멀어지면 다른 용도로는 쓰일 수 없는 경우.

  * 이에 대한 구체적 예문이나 설명은 생략함.

 

    1.  the big    dog    under the tree 
            ①   
중심어     ②
         
(나무 아래의 큰 개) 

   * 위①②는 각각 중심어 dog를 수식할 뿐, ①과 ②는 「수식과 피수식의 관계」가 아니므로 서로 가까이 있을 이유가 없다.


    2.  the sleeping   dog   under the tree  

                 ①     중심어     ②            

   우리말 비교 :  ( 나무밑의  잠자는  

                               ②       ①     중심어
                   *
우리말은 중심어는 뒤에 위치한다.  


   * 위 ①②는 각각 중심어 dog를 수식할 뿐, ②는 ①을 수식할 수 없다.(the때문). ①과 ②는 서로 근거리에 위치하지<이웃하지> 아니하므로 수식과 피수식의 관계가 아니다. ②는 ①과 중심어 전체를 동시에 수식한다고 할 수는 있다.


    3.  the   dog   sleeping   under the tree 

         ①  중심어    ②          ③         
    
( 나무밑에서  잠자는 
               ③         ②    중심어

   * 위 ①②는 각각 중심어 dog를 수식한다. 그러나 ③은 dog를 수식하지 않고 근거리에 있는 ②를 직접 수식한다.


* 은 각각 를 수식한다. 모두 잘못이 없는 문장.


                 (자전거를 살만큼 충분히 부유한)

   * 위 ②는 ①를 수식. 그러나 ③은 ①을 수식할 수는 없고 ②를 수식할 수 있다. 따라서 ③은 ①과 이웃할 수 없고 ②와 이웃해야 함과 동시에  ①과 ②의 근거리 관계를 방해하지도 않고 있다. 다시 말해  ① ②의 근거리 관계를 방해하지 않음과 동시에 ② ③과의 근거리 관계도 유지하는 길은 위와 같은 것이다.

   * 위 ③이 ①을 수식할 수 없음은 다음 예문에서 ③이 ①를 수식할 수 없음과 같은 이유이다.>

        He is  rich  to buy a bike.  어색한 문장
                 ①       ③

P. 92 

   * 위 ①과 ③은 수식과 피수식의 관계가 아니므로 근거리 관계를 지킬 필요가 없다. ①과 ③은 각각 독립적으로 ②를 수식한다. 위 ③이 ①을 수식하지 않고 ②를 수식하는 것은 다음 예문에서 ③이 ①을 수식하지 않고 ②를 수식함과 같은 이치다.

  재래영문법에서 빈도부사의 위치에 관한 규정은 수식과 피수식이론을 모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중대한 실수이다. 빈도부사만 그러한 것이 아니다.

 

* ① ② ④는 모두 을 수식하므로 제각기 과 근거리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데, 는 어차피 한 쪽이 에서 가까운 자리를 양보해야 하는데 위의 경우에서는 이 양보한 상태인데 다음 예문에서는 입장이 바뀐다. 동시에 의미도 그만큼 달라진다.

 

   * 위 ③은 ④를 수식하고 ④는 ③과 한 덩이가 되어서 ②를 수식한다.
   *   위 예문 7. 8. 그리고 다음 예문 9. 10.의 경우처럼, 수식어의 성격에 따라 수식하는 범위도 여러 가지로 나타나지만 근거리 수식의 원칙을 보여주고 있다. 

 

* a.에선 ②③ 전체를 수식하고, b.에선 을 수식한다.

* a. b. c.모두가 근거리 수식의 원칙에 어긋나지 않는 바른 문장이다.

 

이 책 개정영문법은 전체 저작권 공증되었습니다. 무단 복제는 법률로 금지합니다. 이곳은 개정영문법 전자서적입니다. 개정영문법은 먼저 종이책으로 나왔고 많은 사람들이 구매하였습니다.